티스토리 뷰

SMALL

올해도 어김없이 재산세 납부의 시기가 돌아왔습니다.

 

재산세는 주택, 토지, 건축물 등 재산이 있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.

과세기준일인 6월 1일을 기준으로, 재산이 내 명의로 되어 있다면 매년 7월과 9월에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.

재산세 납부 기간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납부 시기를 놓치지 않고 혜택을 최대한 누릴 수 있습니다.

 

오늘은 이 지방세의 카드 혜택에 대해 알아봅니다.

재산세 납부 기간

  • 주택: 7월 16일~7월 31일 (20만 원 이하일 경우)
  • 건물: 7월 16일~7월 31일
  • 토지: 9월 16일~9월 30일
  • 선박 및 항공기: 7월 16일~7월 31일

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7월 16일부터 31일까지 한 번에 납부할 수 있습니다.

재산세 카드혜택

KB국민카드 ‘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’

  • 혜택: 재산세 10만 원 이상 납부 시 월 1회 7,000원 환급
  • 조건: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
  • 특징: 신규 발급 시 60일 동안 무실적 혜택 가능 (최대 5,000원 한도)

하나카드

  • 혜택: 부분 무이자 할부 혜택
  • 특징: 재산세를 한 번에 내기 부담스러울 때 유용

신한 개인 체크카드

  • 혜택: 재산세 납부 금액의 0.1% 캐시백
  • 주의사항: 캐시백 금액이 1만 원 미만일 경우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

BC바로카드

  • 혜택: 누적 이용 금액에 따른 결제일 할인 (2천 원~1만 원)
  • 조건: 총 결제 금액이 50만 원 이상
  • 주의사항: 이벤트 페이지에서 응모 필수

네이버페이

  • 혜택: 10만 원 이상 납부 시 1만 명 추첨 네이버페이 포인트 3천 원 지급

카카오페이

  • 혜택: 자동 응모로 추첨 페이포인트 지급 (1천 원~100만 원)

재산세 납부 꿀팁

  1. 기한 준수: 기한을 놓치면 3%의 가산금이 붙어 부담이 커집니다.
  2. 전자고지서 및 자동납부: 전자고지서와 자동납부를 신청해 고지서 1건당 최대 1,600원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  3. 카드 결제: 다양한 카드 혜택을 비교해 자신에게 유리한 카드를 선택해 결제합니다.

결론

재산세는 매년 납부해야 하는 필수 세금이지만, 카드 혜택을 활용하면 조금이라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위에서 소개한 카드 혜택을 잘 비교하고 자신에게 맞는 혜택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.

LIST